목록Ubuntu (12)
빛나던꽁치의 IT
나중에 배시 스크립트로 만들고 재설치시 마다 활용하려고 한다. 일단 했던 일들 리스트 업만 쭉..사전에 윈도우 hibernation끄는건 필수다. 안 끄면 부팅시에 부트로더를 덮어 씌워 버린다. # 소스저장소 jaist 로 변경# fcitx 설정.팝업이 뜨는경우gedit ~/.config/ficitx/configShowInputWindowAfterTriggering 을 False로 바꿔줌.#zsh로 변경https://nolboo.kim/blog/2015/08/21/oh-my-zsh/ # intellij inotify watches limit 설정sudo gedit /etc/sysctl.conffs.inotify.max_user_watches=524288아래에 추가.# swap 설정 변경gksudo ged..
윈도우 8.1과 우분투14.04 듀얼 부팅시 grub에서 종종 /EndEntire문제가 발생했다. 듀얼부팅할때는 bios에서 windows load manager와 ubuntu의 우선순위를 변경해서 부팅했는데,이 작업이 귀찮아졌다. 그래서 /EndEntire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아마도 grub메뉴에서 Windows Load Manager를 선택하면/EndEntire file path /ACPI(a0341d0,0)/PCI(2,1f)/UnknownMessaging(12)/HD(2,e1800,82000,963b540a6178e211,8d,38)/File(\EFI\Microsoft\Boot)/File(bootmgfw.efi)/EndEntire error: cannot load image. 이런 오류가 발..
보통 이경우는 윈도우8과 우분투 14.04를 듀얼부팅으로 쓰고 있을 사람이라 생각한다. 종료할때 하이브리드, 즉 fast startup?으로 사용중이어서 그런 것이다. 방법 1. 일단 윈도우로 부팅한다음, super(윈도우키)+W를 누르고 전원이라고 입력하면 전원 관련 메뉴가 뜰것이고, 전원 옵션>시스템 설정으로 가면"종료 설정" 카테고리에 빠른 시작 켜기(권장)가 체크되있을 것이다. 체크 해제해주면 끝. 방법 2. 만약에 이 방법이 싫다면, 하이브리드 옵션 없이 윈도우를 종료했다가 우분투로 부팅하면된다.윈도우키+R, cmd를 입력하고 shutdown /s /t 0 해주면된다. 바탕화면>우클릭>새로만들기>바로가기> shutdown /s /t 0 에 대한 바로가기 생성 해주면 한번의 클릭으로 종료 할 수 ..
우분투에서 윈도우 ntfs파티션을 자동으로 마운트 하면 좋겠다고 느낄때가 많을 것이다. 나의 경우에는 사진, 동영상, 음악 폴더를 심링크(ctrl+shift 누르고 드래그앤드롭) 하여 사용중인데, 여러모로 유용하다. 매 시작마다, ntfs를 자동으로 마운트 하고자 한다. 1. 먼저, 터미널에서 sudo blkid 를 입력한다. 여기에 자기가 원하는 파티션이 있을것이다. 원하는 파티션의 UUID를 복사해 놓는다. 2. 그다음, 터미널에서 sudo gedit /etc/fstab 을 입력한다. 3. 맨 아래줄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UUID="따옴표는 제외하고 복사한 UUID를 붙여넣으면 된다" /media/Data ntfs-3g defaults,locale=ko_KR.UTF-8 0 0이렇게 해주면 된다...
1. 터미널에서 sudo gedit /etc/default/grub를 입력한다. 2. GRUB_CMDLINE_LINUX_DEFAULT= 를 ctrl+F로 찾은 다음,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splash" 위 부분을 아래와 같이 바꾼다.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splash acpi_backlight=vendor acpi_osi=Linux" 3. 저장 후에, sudo update-grub한 뒤 재시작 해준다. 참고 http://askubuntu.com/questions/208331/brightness-control-increments-brightness-by-4-instead-of-1
현재 wine 1.7.23를 사용중이고, 카카오톡 2.0을 돌리려고 노력 중이다.playonlinux 사용중-- dependencywalker로 체크해보니 구글링해서 나오는 정보와는달리, riched30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른건 모르겠지만, 일단 설치해야할 component는riched30wmp9gdiplus 이정도이다. playonlinux에서 windows7모드로 실행중이다.(regedit에서 NanumGothic으로 변경 및 FontLink 생성) - http://nemonein.egloos.com/5218684 참고 현재 발생하는 문제는... 1. 입력창 한글 폰트가 네모로 출력됨Lang=ko_kr.utf8로 하면된다는데, 단축아이콘이 아니라 처음부터 적용하고 싶은데, 방법을 찾는..
Ubuntu 14.04에서 ibus의 메타키등록이 어려워져서, 새 lts버전부터는 dconf-editor를 통해서 작업했는데, 찾아봐도 해결방법이 잘 나오지 않다가 결국엔 해결하게 되어서 포스팅하게 되었네요. ppa추가로 나비를 whitelist에 넣는 방법을 찾는 것이 더 좋을 것 같기도 합니다만, 아직은 코드를 보는 중이고, 누군가가 해결을 하겠지요.. 먼저, 일반적인 해결 방법을 적용해봅니다.(이 부분은 http://bagjunggyu.blogspot.kr/2014/04/ubuntu-1404-lts.html 에서 자세한 그림과 함께 보시면 좋습니다) ====================================================================================..
http://elementaryforum.org/forum/support-assistance/how-to_aa/2750-eclipse-kepler-4-3-1-on-eos-beginner-advanced-instructions ubuntu 12.04 기반
우분투 13.10에서는 WPA2 - PEAP인증의 경우,보안접속이 안됩니다. 해결방법 : 일단 와이파이를 끈 뒤에, 터미널에서 gksudo nautilus 를 입력 후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 이 경로로 이동합니다. 해당 SSID이름의 파일에서 system-ca-cert=true 부분을 system-ca-cert=false로 수정한 뒤에, 와이파이를 다시 켜주시면 됩니다.
SSD와 같은 저장소의 성능저하를 막기위해서는 trim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기존에 discard 명령어를 추가 시켜 실시간trim시키는 방법은 알려져왔지만, 우분투에서는 실제로 잠깐 퍼포먼스 저하가 일어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지원(커널에서 기본지원)을 막아두었다고 합니다. 안드로이드 4.3 젤리빈에서는 Trim이 기본적으로 지원되었는데, 주기적으로 수동트림 되게 해주었습니다. 해당 커밋 : https://android.googlesource.com/platform/system/vold/+/b87937cdea689594a293979b30b13054e7455dee 비슷한 방법으로, 터미널에서 sudo fstrim -v / 라는 명령어를 이용해 수동으로 트림할 수 있는데, 이 수동과정을 매일 실행하면...성..